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코로나주사후 먹는약, 효능효과 부작용 주의사항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이란(요약)

해열진통제이다. 발열 및 두통, 신경통, 근육통, 월경통, 염좌 통 등을 가라앉히는 데 사용된다. 그 외에도 생리통 및 치통, 관절통, 류마티스성 통증 등에도 사용 가능하다. 아세트아미노펜 단일 성분으로 이뤄진 약 외에 감기약과 같은 복합제에도 함유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중복 사용하지 않게 주의가 필요하다.
2022.02.02 - [함께 공부하는 질병 이야기]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 효능효과 부작용 위험성 (타이레놀 부작용)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 효능효과 부작용 위험성 (타이레놀 부작용)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란 통증과 염증 및 발열에 대한 치료로 흔히 사용되는 약물로 1960년대에 소개된 이후 현재까지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약물이다. NSAID는 골 관절염, 류마티스
ronahouse.tistory.com
아세트아미노펜의 작용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사이클로 옥시 게나제(COX) 경로를 억제하고, 중추신경계의 세로토닌(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함으로써 진통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뇌의 열 조절 중추에 직접 작용함으로써 해열 작용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와는 달리 염증을 치료하는 소염 효과는 없다
-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s) : 생체 내에서 합성된 생리활성물질로, 환상 구조를 지닌 20개의 탄소를 포함하고 있는 불포화 지방산 유도체. 장기나 체액 속에 널리 분포하면서 극히 미량으로 생리작용을 한다.
- 사이클로 옥시 게나제(COX, cyloxygenase):프로스타글란딘 합성 단계를 촉매 하는 효소
- 세로토닌(serotonin):행복 호르몬. 감정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경전달물질로 식사, 수면, 고통 조절 등에도 관여한다.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해열, 진통, 항염증 효과가 있다. 부작용이 큰 스테로이드 화합물을 대신하여 염증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약물들을 총칭하여 부른다. 대표적 약물로는 아스피린, 록소프로펜, 이부프로펜, 아세클로페낙 등이 있다. 2022.02.11 - [함께 공부하는 질병 이야기]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종류, 효능, 효과 부작용 (짧은 반감기) 하루 세 번에서 네 번 먹는 비스테로이드 성 소염진통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종류, 효능, 효과 부작용 (짧은 반감기) 하루 세번에서 네번먹는 비
체내 분해시간(반감기)에 따른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 종류 짧은 반감기와 긴 반감기를 지닌 두 가지 종류로 분류되며 ibupropen, diclofenac과 같은 짧은 반감기의 NSAID는 6-8시간 간격으로
ronahouse.tistory.com
아세트아미노펜 종류

- 경구용 아세트아미노펜으로는 일반정(타이레놀, 써스펜, 트라몰 등), 서방정, 츄어블정, 현탁액(시럽), 건조시럽 등이 있다.
- 외용제로는 좌약인 써스펜 좌약 이 있다.
아세트아미노펜 효능 효과

2022.01.08 - [함께 공부하는 질병 이야기] - 트라몰 효능효과 부작용 복용법
트라몰 효능효과 부작용 복용법
원료약품 및 분량 유효성분: 아세트아미노펜 650mg, 첨가제(동물유래성분) : 스테아르산마그네슘(소,우지), 기타첨가제 : 산화티탄, 슈어릴리즈,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콜로이드성
ronahouse.tistory.com
감기로 인한 발열 및 통증, 두통, 신경통, 근육통, 생리통, 염좌 통(삔 통증) 등에 단기적으로 사용한다. 치통, 관절통, 류마티스성 통증 등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아세트 아미노펜 좌약은 경구로 약물을 투여하기 힘든 경우 항문을 통해 직장 내 삽입함으로써 감기에 의한 발열과 통증 완화에 사용한다.
아세트아미노펜 용법
제형 | 연령 | 용법(mg) |
일반정 | 만 12세 이상 소아 및 성인 | 1회 500~1000, 하루 3-4회(4-6시간 마다) 필요시 복용 하루 최대 4000 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
만 12세 이하 소아 | 1회 권장용량을 4-6시간마다 필요시 복용 (1회 권장용량은 연령및 체중에 따라 다르다) 1일 5회 (75mg/kg)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
|
서방정 | 만 12세 이상 소아 및 성인 | 1회 1,300. 8시간 마다 복용한다 하루 최대 3,900 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
츄어볼 | 만 12세 이하 소아 | 1회 권장용량을 4-6시간마다 필요 시 복용한다 |
현탁액 건조시럽 |
(1회 권장용량은 연령 및 체중에 따라 다르다) 하루 5회(75mg/kg)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
|
좌제 | 성인 | 1회 500-1000, 하루 2-3회 직장내 삽입한다 |
소아 | 1회 권장용량을 1일 2-3회 직장내 삽입한다 |
서방정의 경우 씹거나 부수지 말고 그대로 복용해야 한다. 건조시럽은 사용 시 물에 녹여 물약으로 복용한다. 좌제의 경우 직장 내 깊이 삽입한 후 밀려나지 않도록 약 1분간 눌러준다. 삽입이 어려운 경우 물을 묻혀 삽입한다.
아세트아미노펜 주의사항


- 과량 복용은 사망할 수 있는 매우 심각한 간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췌장, 신장에도 심각한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심한 경우 간이식이 필요하거나 사망할 수 있는 급성 간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하루 허용 용량인 4000을 넘지 않도록 한다. 장기 복용이나 과량 복용이 필요한 경우 반드시 먼저 의사와 상의한다.
- 장기 투여의 경우 정기적 간 검사가 필요하다.
- 매일 세잔 이상 정기적으로 술을 마시는 사람이 아세트아미노펜을 복용할 경우, 심각한 간 손상이 유발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복용전 반드시 의사와 상의한다.
- 아세트아미노펜 복용으로 매우 드물게 급성 전신성 발진성 농포증(AGEP), 스티븐스-존슨 증후군(SJS), 리엘 증후군(TEN)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이 초래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이 일어나게 되면 즉시 사용을 중지하고 의사의 진료를 받도록 한다.
- 급성 전신성 발진성 농포증(AGEP, acute generalized exanthematous pustulosis) : 약물, 바이러스 감염 등으로 인해 발진과 함께 전신에 고름 물집이 생기는 증상이다. 38도 이상의 고열, 근육통이 동반될 수 있다. 특별한 치료 없이도 호전되기 때문에 따로 약물은 사용하지 않으며 필요시에만 스테로이드를 사용한다.
-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Stevens-Johnson syndrome, SJS) : 급성 중증 피부 점막 질환으로, 주로 약물에 의해 발생한다. 피부 병변은 대개 홍반성의 반점으로 시작하여 수포 및 피부박리가 일어나며 심한 전신 증상이나 내부 장기 침범이 동반되기도 한다. 체표면적의 10% 이하에서 표피 박리가 일어난다.
- 리엘 증후군(TEN, Lyell syndrome, toxic dpidermal necrolysis): 임상증상이 스티븐스-존슨 증후군과 유사하나 표피 박리가 체표면적의 30% 이상일 때 리엘 증후군으로 진단한다.
간에 치명적인 아세트 아미노펜 - ------------------------------------------------------------------------------------------------------------------------------
- 간/신 장애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 소화성 궤양 병력이 있는 환자, 혈액 이상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 출혈 경향이 있는 환자, 심장애 환자, 과민증 환자, 기관지 천식 화자, 고령자, 임부 또는 수유부, 와파린 장기 복용 환자, 리튬 또는 티아지드계 이뇨제 복용 환자 등은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하여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
- 해열 진통제에 의한 치료는 증상을 완화하는 것이므로, 통증 및 발열의 정도를 고려하여 가능한 최단기간 동안 최소한의 용량으로 사용해야 한다.
- 만성 질환 등으로 장기간 복용하는 환자는 정기적으로 소변검사, 혈액검사, 간 기능 검사 등의 임상 검사가 필요하다.
- 의사나 약사의 지시 없이 장기간 사용해서는 안된다. 진통 목적일 경우에는 성인은 10일 이상, 소아는 5일 이상 약을 복용하지 않도록 한다. 해열 목적일 경우 3일 이상 복용하지 않도록 한다. 통증이나 발열이 지속 또는 악화 시 의사와 상의한다.
- 아미노 아미노펜 투여 후 과도한 체온 하강, 허탈, 사지 냉각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고열을 수반하는 소아 및 고령자, 소모성 질환 환자는 복용 후 이러한 증상이 발생하는지 주의 깊게 살펴야 한다.
- 아세트 아미노펜 투여 후 구역, 구토, 식욕부진, 위장 출혈, 소화성 궤양, 천공 등의 위장관계 이상 반응 시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한다.
- 아세트아미노펜 투여에 의해 감염 증상이 가려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감염 의심 시 의사의 진료를 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다.
- 아세트 아미노펜 과량 투여 시 명백한 증상이나 징후가 없어도 즉시 응급실로 가서 적절한 처치를 받도록 한다. 10-12시간 이내 N-아세틸 시스테인 정맥주사를 투여받거나 메치오닌을 경구 투여하여 간을 보호한다.
- 임부 또는 수유부의 사용 시 의사와 먼저 상의한다.
아세트아미노펜을 사용하면 안 되는 사람
- 소화성 궤양, 중증 혈액 이상, 간 장애, 신장애, 심장 기능부전이 있는 경우
- 술과 병용 섭취
- 아스피린 또는 다른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에 의한 천식 반응이 있었던 경우
- 바르비탈계 약물 또는 삼환계 항우울제를 복용한 경우
- 바르비탈(barbiturate)계 약물 : 바르비투르 산(barbituric acid)의 유도체로 중추신경계를 억제하는 약물. 진정제, 수면제, 항경련제 또는 마취제 등으로 사용된다.
- 삼환계 항우울제 : 고전적인 항 우울제로 구조적으로 세 개의 고리를 가지고 있어 삼환계 항우울제로 명명. 신경세포 말단에서 분비된 신경 전달 물질들은 다시 신경세포로 재흡수됨으로 농도가 낮아져 활성이 없어지게 된다. 신경 세포 말단에서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차단하여 시냅스 내의 이들 신경전달물질의 농도를 증가시켜 우울증상을 개선한다. 아미트리프틸린(amitriptyline)-에트라빌, 에나폰, 노르트립틸린(nortriptyline)-센시발, 클로미프라민(clomipramine)-그로민, 이미프라민(imipramine)-이미프라민 염산염, 아 목사 핀(amoxapine)-아디센 등의 약물이 있다. 아미트리프틸린과 이미프라민의 경우 우울증 뿐 아니라 야뇨증에도 사용되고, 클로미프라민은 강박관념, 공포 상태, 수면 중 나타나는 발작에도 사용된다.
'함께 공부하는 질병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린이용 해열진통제 챔프 이부펜 시럽 효능효과 부작용, 첨가물 특징과 부작용 (0) | 2022.02.20 |
---|---|
항 우울제 종류 효능 효과 부작용 복용법 (0) | 2022.02.14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종류, 효능, 효과 부작용 (짧은 반감기) 하루 세번에서 네번먹는 비스테로이드 성 소염진통제 (0) | 2022.02.11 |
못에 찔렸을때, 금속에 의한 상처, 개나 고양이에게 물렸을 때, 흙이 상처에 닿았을 때 파상풍 원인, 치료방법, 예방. (0) | 2022.02.09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 효능효과 부작용 위험성 (타이레놀 부작용) (0) | 2022.02.02 |
댓글